본문 바로가기

철인3종

트라이애슬론 입문자가 자주 하는 실수 10가지와 해결법

 

트라이애슬론 입문자가 자주 하는 실수 10가지와 해결법

 

1. 실수: 수영 훈련을 가볍게 여긴다


트라이애슬론 입문자들은 수영보다 자전거나 달리기에 더 익숙한 경우가 많다. 그래서 수영 훈련을 소홀히 하다가 대회 당일 오픈워터 환경에서 큰 당황을 겪는다. 특히 파도, 부표, 좁은 출발 공간 등은 수영장 경험만으로는 적응하기 어렵다.
해결법: 주 1~2회는 실외 오픈워터 훈련을 포함하고, 수영 훈련 초반에는 거리보다는 편안한 호흡과 방향 감각 익히기에 집중하자.

 

2. 실수: 자전거 피팅 없이 장비부터 산다

가격, 디자인만 보고 자전거를 먼저 구입한 뒤 허리 통증이나 무릎 부담으로 고생하는 사례가 많다. 장비는 잘 샀지만 오래 타기 어려워 중고로 처분하는 경우도 있다.
해결법: 구매 전 피팅 샵에서 본인의 자세와 신체 조건에 맞는 사이즈, 스템 길이, 안장 높이를 먼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3. 실수: 장거리 훈련만 고집한다

‘멀리 뛰면 늘겠지’라는 생각으로 LSD(Long Slow Distance)만 반복하는 입문자들이 많다. 하지만 고강도 인터벌 없이 장거리만 하면 실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.
해결법: 주 1~2회는 인터벌이나 템포런, 언덕 라이딩 같은 고강도 세션을 포함해 유산소 및 무산소 역치를 모두 자극하자.

 

4. 실수: 트랜지션 훈련을 빼먹는다

수영 후 자전거(T1), 자전거 후 러닝(T2) 전환 과정은 익숙하지 않으면 당황하거나 에너지를 낭비하기 쉽다. 입문자는 이 구간을 훈련 없이 대회 당일 처음 겪는 경우가 많다.
해결법: 훈련 중 실제 대회처럼 옷 갈아입기, 장비 정리, 동작 전환을 연습해 두면 실전에서 큰 도움이 된다.

 

5. 실수: 영양 섭취를 과소평가한다

키워드: 트라이애슬론 보충식, 경기 중 영양 섭취
경기 중 에너지 고갈은 생각보다 빠르게 찾아온다. 특히 2시간 이상 소요되는 대회에서는 단순한 물만으로는 버틸 수 없다.
해결법: 훈련 중에도 젤, 바나나, 전해질 음료 등을 테스트하며 본인에게 맞는 제품과 섭취 타이밍을 찾아야 한다.

 

6. 실수: 레이스 전략 없이 출발한다

초반부터 무리하게 속도를 내면 후반에 급격히 체력이 무너진다. 입문자들은 흥분된 마음에 평소보다 빠르게 출발해버리는 실수를 많이 한다.
해결법: 훈련 기록을 참고하여 구간별 목표 페이스를 미리 계획하고, 시계나 파워미터로 꾸준히 체크하자.

 

7. 실수: 너무 무거운 장비에 의존한다

고급 TT 자전거, 비싼 카본 헬멧 등은 입문자에게 과할 수 있다. 실력보다 장비에 의존하다 보면 기본 훈련에 소홀해진다.
해결법: 필수 장비 위주로 가성비 좋은 제품을 우선 확보하고, 실력을 쌓은 뒤 차차 업그레이드하는 접근이 바람직하다.

 

8. 실수: 회복을 무시한 과훈련

매일 달리고, 매일 수영하고, 쉬지 않고 운동을 이어가는 입문자들이 있다. 하지만 피로 누적은 부상의 지름길이다.
해결법: 주 1~2회는 휴식일을 넣고, 마사지, 스트레칭, 수면 등 회복 루틴도 훈련만큼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.

 

9. 실수: 대회 전 장비 점검을 잊는다

대회 당일 타이어에 펑크가 나거나, 고글을 깜빡하거나, 클릿이 헐거운 경우는 실력과 무관하게 결과에 큰 영향을 준다.
해결법: 대회 3일 전에는 장비를 전부 점검하고, 클린처 타이어의 경우 예비튜브나 CO2 킷, 튜블리스 타이어의 경우 여분의 실란트 등 긴급 대비 물품도 챙기자.

 

10. 실수: 너무 늦은 등록 또는 정보 부족

인기 있는 대회는 빨리 마감되며, 숙소 예약이나 코스 숙지도 미리 해야 안정적인 참가가 가능하다. 정보를 모르고 급하게 등록하면 준비 시간이 부족하다.
해결법: 참가할 대회는 최소 2~3개월 전부터 정하고, 공식 사이트 및 블로그 후기 등을 통해 충분히 정보를 수집하자.

 

 

 

마무리: 실수를 피하면 성장 속도는 빨라진다

트라이애슬론은 경험의 스포츠다. 하지만 입문자라 하더라도 반복되는 실수를 피하면 더 빠르게, 더 즐겁게 성장할 수 있다. 이번 글에서 다룬 10가지 실수와 해결법을 기억해두면 첫 대회부터 훨씬 더 자신감 있게 완주할 수 있을 것이다.